바람은, 좀처럼 내 바람대로 불지 않는다.

바람은, 좀처럼 내 바람대로 불지 않는다.

NGO, NPO, 그리고 사회적 기업. 모두의 바람이 있다면 회사 본연의 공익적 취지는 살리면서 눈치보지 않고 운영하는 것이다. 그러려면 돈이 필요하다. 돈 걱정 없는 공익사업은 불가능하다. Non-profit에서 일하면서 얻은 깨달음 하나. 공익만 지나치게 강조하여 지원금에 의존하면 결국 경쟁력과 자생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JVS-Boston의 주요업무 중 하나는 이민자와 난민들(clients)을 교육하여 회사에 취업시키는 일이다. 미국정부(Federal Funding), 주정부(State Funding), 시장직할 인력개발부서(Mayor’s Office of Workforce Development)에서 그리고 유태인계 재단인 CJP로부터 회사 운영비의 상당부분에 해당하는 지원금이 들어온다. 하지만 수 년간 회사의 규모를 키우면서 전체예산에서 지원금이 차지하는 비율을 줄이고, 서비스를 통한 매출비중을 높여오고 있다. 파트너쉽을 맺은 대기업들은 일부는 세금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부금의 형태로, 일부는 정당한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우리에게 지불한다.

우리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들 중 파트너사(社)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분야는 다음과 같다.

– 난민과 이민자의 신원조회 및 범죄기록사실 확인

– 기본 비즈니스 영어와 문화 교육

– 컴퓨터, 접객, 약학보조, 간호보조, 은행업무보조 등 분야별 직업교육

– 기업의 필요에 따른 재교육, 맞춤형 보충교욱

– 기업현장에 영어교사 파견

교육NPO 로서 JVS-Boston의 특징은 저임금 노동자들의 신원을 보증하고, 기본 교육과 보충교육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각각 파트너사의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파트너사들이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이익은 비용절감과 위기관리이다. 이 두 가지는 모든 회사들이 역점을 두는 부분이므로 공익이라는 명분은 거들 뿐, 파트너사에 실질적인 이익을 가져다 준다. 점차 파트너사를 식품가공, 요식업, 유통을 넘어 의료, 금융 관련사로 확대하여 매출 증대를 꾀하고 있다.

매출 증대는 정치적 이해관계에 의해 영향받기 위한 무상지원금을 줄여 NPO로서의 자생력을 높이는 의의가 있고, 나아가서는 지원 주체가 간혹 꺼리는, 특정국가 난민문제, 성적 소수자 문제 등에 유연하고 자의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더 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이야기는 어디까지나 회사 입장이고, 현장에서 내가 느끼는 안타까움들도 많다.

회사가 수익 사업에 역점을 두기 시작하면서 파이를 키운다는 명목 하에 클라이언트들의 적극적인 취업이 강조되었다. 일부 담당직원들(career coaches)에게 클라이언트들의 취업실적이 할당량처럼 부과되는 NPO답지 못한 일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들의 적성이나 커리어계획을 고려하기보다는 최단시간 내에 취업을 강요하는 문화가 생겨났다. 게다가 회사가 운영하는 교육 프로그램들 중 취업관련성이 떨어지는 일반교육에는 배정되는 예산이 줄어들기 시작했다. 회사의 덩치가 커진만큼 등잔 밑 그늘이 깊어졌다.

내가 직접 관여하고 있는 프로그램에도 피바람이 불 예정이다. 반(反)이민자 정책을 펴는 트럼프도 트럼프지만, 오바마대통령 임기 말 제정한 *WIOA가 가져온 여파다. 취지는 좋았으나… JVS-Boston의 인적 물적 자원이 취업교육에 집중되면서, 경제활동인구 범위 밖의 장년층, 그리고 사회보장번호가 없는 불법체류외국인들은 당장 법안이 발효되는 내년 하반기부터 우리 회사가 제공하는 교육 및 지원 서비스들을 받기가 어려워진다.

바람은, 좀처럼 내 바람대로 불지 않는다.

*WIOA (The Workforce Innovation and Opportunity Act) : 미국 노동부(DOL), 교육부(EL), 보건복지부(HHS)가 연대하여 지역 단위로 저소득계층에게 집중적인 취업교육을 제공하도록 하는 법안. 저소득층의 실업률과 사회보장기금 의존도를 낮추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Advertisement